바로가기 메뉴
대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둘레길 코스

9코스-대모·구룡산 코스

9코스-대모·구룡산 코스:코스,지역,거리,소요시간,난이도 정보를 제공
코스명 시종점 자치구 거리(km) 소요시간 난이도
9코스-대모·구룡산 코스 수서역 ~ 매헌시민의숲(양재시민의숲역) 강남구,서초구 10.7km 4시간 50분 고급

세부코스정보

서울둘레길 9코스로 대모산과 구룡산을 통과하는 코스이다.

자연생태 유람길이라는 테마를 갖으며 높지 않은 고도로 수월한 트레킹이 가능하며 산림자원이 풍부하고 서울시 조망이 좋다.

지하철 수서역과 양재시민의 숲역과 인접해있다.

세부코스정보
코스명 9코스 - 대모·구룡산 코스
시종점 수서역 매헌시민의숲(양재시민의숲역)
스탬프함 위치 대모산 입구 매헌시민의숲
거리 및 소요시간 10.7km 약 4시간 50분 난이도 상
세부코스 수서역 ~ 대모산 ~ 불국사 ~ 구룡산 ~ 여의천 ~ 매헌윤봉길의사 기념관 ~ 매헌시민의숲

코스 진입 방법

코스 진입 방법
출발지 수서역 4번 출입구(3호선, 수인분당선)
도착지 양재시민의숲역 5번 출입구(신분당선)
컨텐츠 지도 건너뛰기 링크

배부처

배부처
배부처 연락처
서울둘레길 안내센터(창포원) 02-779-7902~4, 070-4465-7906
서울둘레길 안내센터 (매헌시민의숲) 070-4465-7905
시민청(서울시청 지하1층) 02-739-7733
아차산관리사무소 02-450-1655
관악산관리사무소 02-879-6561, 02-879-6526, 02-879-6574

※ 유의사항

  • 1 안내지도, 스탬프북 물량이 없을 수 있으니 문의전화 후 방문하세요.
  • 2 스탬프 투어시 인주(스탬프 찍는 인주)를 함께 가지고 다니면 좋습니다.(스탬프가 야외에 설치되는 관계로 기후 등에 따라 인주가 마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스탬프 시설위치

스탬프 시설 위치
코스 스탬프 시설 위치 비고
9코스-대모·구룡산 코스 대모산 입구
매헌시민의숲
  • 대모산 입구

    대모산 입구
  • 매헌시민의숲

    매헌시민의숲

주요지점 및 연계시설

  • 대모산
    대모산
    대모산은 높이 293m의 산으로 산 모양이 늙은 할머니와 같다 하여 할미산으로 불리우다가 조선시대 태종 이방원과 그의 비 원경왕후 민씨 묘인 '헌릉(獻陵)'이 대모산 남쪽에 조성되면서 어명으로 대모산으로 고쳤다고 한다. 대모산은 조선시대 때 명당으로 알려져 대대로 왕족의 묘터로 사용되었다. 세종대왕의 능도 이곳에 있었으나 세종의 능은 1469년 예종(睿宗) 때 경기도 여주로 이장하였다.
  • 구룡산
    구룡산
    해발 306m인 구룡산은 아홉 개의 계곡이 있는 산으로, 옛날 길을 지나던 임산부가 열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소리치는 바람에 열 마리 중 아홉 마리는 승천하였으나 한 마리가 떨어져 죽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구룡산 제2봉인 국수봉전망대는 서울 강남, 강북과 경기도 한강하류와 상류지역까지를 관망할 수 있는 최적지로 주·야경 조망 명소이다. 또한, 산으로 높지 않고 길이 험하지 않아 가벼운 아침운동이나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산행으로 제격이며, 접근성도 용이하여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강남의 명소이다.
  • 탄허기념 불교박물관
    탄허기념 불교박물관
    불교계를 대표하는 학승이자 유·불·선 삼교를 화통한 탄허 대종사를 기리기 위해 2010년 개관한 박물관이다. 전시, 연구, 문화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문학, 예술, 과학 등이 융합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중이다.
  •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
    전주이씨 광평대군파묘역
    광평대군 내외의 묘와 아들인 영순군의 묘를 비롯해 광평대군의 양아버지인 무안대군 방번 내외의 묘 등 700여 기의 무덤이 있는 공동묘역이다. 광평대군의 묘는 원래 지금의 강남구 상성동 선릉 부근인 광주 학당리에 있었는데, 이곳에 조선 성종의 능인선릉이 들어서자 1495년(연산군 1)에 수서동 대모산 기슭으로 옮겼다. 이 묘역일원은 서울 근교에 있는 왕손의 묘역 가운데 원래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1981년 2월 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돌탑전망대
    돌탑전망대
    고 임형모씨는 대모산에서 1995년 ~ 2014년까지 20년간 돌탑을 쌓아 올렸다. 살아생전 “아름다운 자연과 더불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라며 돌아가시기 전까지 탑을 쌓는데 열정을 쏟았다. 이에 강남구는 대모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지키고 대모산을 찾는 모든 이들의 건강을 염원했던 고인의 뜻을 기리고자 돌탑을 보존하였다.
  • 대모산도시자연공원
    대모산도시자연공원
    불국사(약사절)를 비롯하여 수질 좋은 약수터가 있고, 산 입구 쪽에는 각종 희귀 나무 등을 심어 놓은 자연 학습장이 있어 학생들의 야외 교육장 및 주민들의 산책, 등산로로 사랑받고 있다.
  • 불국사
    불국사
    불국사는 대모산에 위치한 유서 깊은 사찰로 고려 공민왕 2년(1385년) 진정국사께서 창건한 절이다. 창건 당시 사명은 약사절로 절 아랫마을 농부가 밭을 갈다 땅 속에서 돌로 만든 부처님이 나와 마을 뒷산에 모시고 있다가 국사께서 현 위치에 절을 짓고 약사 부처님을 모신 절이라 해서 약사절로 불리었다.
  • 여의천
    여의천
    청계산에서 발원한 물이 구룡산에서 흘러내린 물과 합친 뒤 경부고속도로 양재나들목과 양재시민의 숲을 거쳐 양재천으로 흘러든다. 양재천은 탄천으로 유입되어 한강으로 흘러든다. 옛 지명은 염곡천이었으며 예부터 ‘안개가 자주 끼는 하천’이라 하여 연내천이라고도 불렀다.
  •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은 윤봉길의사의 업적과 살신성인 정신의 높은 뜻을 기리고, 계승을 발전시키며, 선양하기 위한 기념관이다. 기념사업회가 주관하여 국민들의 성금으로 1988년에 서울 매헌시민의숲 안에 설립하였다.
  • 매헌시민의숲(구. 양재시민의숲)
    매헌시민의숲(구. 양재시민의숲)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숲이 좋아 연인들의 만남의 장소로 이용된다. 현재 도심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울창한 수림대를 형성하고 있고 특히 가을에는 감, 모과 등 과일이 열려 풍성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메뉴 닫기